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8. 한계 효용 체감에 대해서

by sol1025 2024. 12. 11.

운동을 하고 나서 물 한 잔 마실 때는 정말 물이 이렇게 달달하고 청량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만약 한 잔을 마시고 또 한 잔을 들이켜면, 첫 잔만큼의 시원함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한 잔을 더 마시게 되면 세 번째 잔이 주는 만족은 떨어지게 됩니다. 시원한 물이 주는 첫 잔의 만족감이 내내 이어지면 좋겠지만 마시면 마실수록 만족감을 줄어듭니다. 과연 왜 그럴까요.


효용이란?
먼저 한계효용체감을 설명하기 전에 효용이라는 단어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를 알아봐야 합니다. 효용은 경제학에서 소비자가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느끼는 만족감 또는 가치를 의미합니다. 소비자의 주관적인 감정이나 선호도를 반영하는 개념으로, 재화나 서비스가 얼마나 소비자에게 유익하지, 또는 행복을 가져다주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효용의 주요 개념으로는 총효용, 한계효용 그리고 주관적 성격 등이 있습니다.


총효용(Total Utility)은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일정량 소비했을 때 얻는 총만족감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먹는다면 3개를 먹고 느끼는 전체 만족감을 말합니다. 한계효용(Marginal Utility)은 추가로 한 단위의 재화나 서비스를 더 소비했을 때 증가하는 만족감입니다. 일반적으로 한계효용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한 개를 먹을 때 만족감은 크지만, 3개 먹을 때는 만족감이 줄어드는 경우를 말합니다. 효용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지는 주관적인 가치를 말합니다. 어떤 사람에게 아이스크림 하나에 큰 만족을 줄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전혀 만족을 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Utility)이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소비할수록 그것을 통해 얻는 효용의 합은 증가합니다. 하지만 소비와 효용의 크기는 정비례하지 않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으로 설명합니다. 동일한 재화를 반복적으로 소비할수록 추가로 얻는 만족감은 점차 감소를 말합니다. 효용의 주용 개념을 설명하면서 나왔던 한계효용이 감소하는 것이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아무리 맛있는 음식도 계속해서 먹으면 질리게 되듯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서 얻을 수 있는 한계효용이 지속적으로 줄어든다면 결국은 이 음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만족은 다른 음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만족보다 작아집니다. 뷔페에서 좋아하는 음식만 먹지 않고 여러 음식을 먹는 것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52의 용돈을 받아 이를 기념품(Souvenirs)과 게임(Games)에 모두 쓰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소비자들은 제한된 소득 안에서 최대한 만족감을 얻기 위해 한계효용(Marginal Utility)을 기준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즉, 한계효용이 가장 높은 것부터 하나씩 소비해나가는 것이죠. 예를 들어, 한계효용이 8 → 7 → 7 → 6 순으로 줄어든다면, 기념품과 게임을 각각 4개까지는 소비할 수 있습니다. 이후, 5번째 선택에서도 한계효용이 더 높은 게임을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선택이 더 큰 만족감을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 시원한 물을 마실 때 만족감이 점차 줄어드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이는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을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예시를 통해 여러분이 물건을 구매할 때 스스로 "내가 정말 효용을 따져보고 있는 걸까?"라고 한 번쯤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